반응형
청년매입임대주택을 고민하는 분들을 위하여 소득과 자산의 개념, 소득과 자산의 산정 방법, 소득과 자산의 기준표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알려드리고 , 관련 홈페이지도 소개합니다.
📌 소득과 자산이란?
소득은 쉽게 말해 내가 벌어들이는 돈을 뜻합니다.
급여, 아르바이트 수입, 프리랜서 수입, 사업소득, 연금, 이자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자산은 내가 갖고 있는 재산을 의미합니다.
예금, 적금, 주식, 보험, 차량, 부동산 등이 포함되며, 임대보증금, 회원권, 어업권 등도 자산에 포함됩니다.
📌 청년매입임대주택 소득·자산 산정 방법
소득 산정: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기타 소득을 모두 합산해 계산합니다.
자산 산정: 총 자산금액은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기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입니다.
자동차는 보유 차량 중 가장 가액이 높은 기준이며, 일정 기준 초과 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소득·자산 기준표 (예시)
1순위 | 수급자 등 자격 확인 | 수급자 등 자격 확인 |
2순위 | 본인+부모 월평균소득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1인) 4,317,797원 / (2인) 6,024,703원 / (3인) 7,626,973원 |
총자산 3억3,700만 원 이하 자동차 3,803만 원 이하 |
3순위 | 본인 소득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1인) 4,317,797원 |
총자산 2억5,400만 원 이하 자동차 3,803만 원 이하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란, 각 가구원 수에 맞는 기준 소득 금액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자산 기준도 총 자산과 자동차가 정해진 금액을 넘지 않아야 하며, 자동차는 가장 비싼 차량 1대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공고문에 적힌 내용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나씩 풀어보면 생각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신청 전에 소득·자산 기준을 꼭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
'경제 및 금융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는 노후 대비 자격증 10가지 (8) | 2025.06.05 |
---|---|
예술활동증명 예술활동준비금신청으로 300만원 지원금 혜택 받기 (14) | 2025.06.04 |
전세 사기 예방하는 12가지 체크 사항 (4) | 2025.05.30 |
2025년 6월부터 달라지는 임대차 신고제 (2) | 2025.05.29 |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정보 안내문자 확대시행! (2) | 2025.05.28 |